📌ETC
신입 개발자 기술면접 질문 정리 #7
💡 동기 방식 (Synchornous) : 동시에 일어난다는 뜻. 요청과 그 결과가 동시에 일어난다는 약속이다. 시간이 얼마나 걸리던지 요청한 자리에서 결과가 주어져야함. 요청과 결과가 한자리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A노드와 B노드 사이의 작업 처리 단위(transcation)를 동시에 맞추겠다. 특징 설계가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 응답(결과)를 볼 때까지 아무것도 못하고 대기해야한다. 실제 cpu가 느려지는 것은 아니지만 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이 저하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비동기 방식(Asynchronus) :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뜻. 요청과 결과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거라는 약속이다. 요청한 그 자리에서 결과가 주어지지 않음 노드 사이의 작업 처리 단위를 동시에 맞추지 않아도 된다. 비..
신입 개발자 기술면접 질문 정리 #1 ~ #6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은 오로지 컴퓨터 관점에서의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라면 객체지향은 인간이 구분할 수 있는 요소를 객체로 표현한 인간 중심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객체는 기억장소와 이 기억장소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연산의 집합이 정의되면 객체를 선언할 수 있다. 많은 객체 지향 언어에서 객체는 클래스로 그룹화 된다. 생성된 클래스로 객체의 특정 예를 생성하는데 이를 인스턴스라고 부른다. 객체 간의 정보 교환이 모두 메시지 교환을 통해 일어난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4가지 특징을 가진다. 추상화 : 클래스를 구현함에 있어 필요한 부분만 구현할 수 있다. 캡슐화 : 어떤 클래스를 이용함에 있어 내용(내부적인 데이터 흐름)은 알 필요 없이 사용해도 된다. 은닉화 ..
신입 개발자 기술면접 질문 정리 #6
💡 Object란? : Object(객체)는 OOP에서 데이터(변수)와 그 데이터에 관련되는 동작(함수). 즉 절차, 방법, 기능을 모두 포함한 개념 ex) 기차역에서 승차권을 발매하는 경우, 실체인 '손님'과 동작인 '승차권 주문'은 하나의 객체이며, 실체인 '역무원'과 동작인'승차권 발매'도 하나의 객체이다. 같은 성질, 같은 구조와 형태를 가지는 객체는 등급으로 정의하고 등급에 속하는 객체는 그 등급의 인스턴스라고한다. 💡 Wrapper Class Obejct를 상속하는 모든 클래스를 참조형(Reference Type) 원시적인 형태로 표현하는 기본형(Primitive Type) Primitive Type Wrapper Class int Integer char Character byte Byte s..
신입 개발자 기술면접 질문 정리 #5
💡 PK, FK, ER 모델이란? Primary Key 테이블에서 각 Row를 유일하게 구분하는 Column Key Foreign Key 하나의 테이블에 있는 Column으로는 그 의미를 표현할 수 없는 경우, 다른 테이블의 Primary Key Column의 값을 반드시 참조하여 표현해야 하는 Column Field Table에서 Row와 Column이 교차하는 데이터 💡 참조무결성이란? 관련된 테이블의 레코드 간의 관계를 유효하게 하는 규칙으로 사용자의 실수로 관련 데이터가 삭제되거나 수정되는 것을 막아준다. 참조 무결성을 설정할 수 있는 조건은 기본 테이블에서 일치하는 필드가 기본 키이거나 고유 인덱스를 갖고 있거나 관련 필드의 데이터 형식이 같아야 한다. 💡 RDBMS란? 모든 데이터를 2차원 테..
신입 개발자 기술면접 질문 정리 #4
💡 Interface란? 일종의 추상클래스이다. 오직 추상메소드와 상수만을 멤버로 가진다. Implements 키워드 사용한다. 상속의 관계가 없는 클래스간에 서로 공통되는 로직을 구현하여 쓸 수 있도록함. Extends는 하나의 클래스만 상속가능하나 인터페이스는 다중상속 가능하다. 💡 Abstract 란? 추상메소드를 하나 이상 가진 클래스. 자신의 생성자로 객체 생성 불가능. 하위 클래스를 참조하여 상위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 하위 클래스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 💡 Interface vs. Abstract Class 용도는? 공통점 new로 인스턴스 생성이 안됨. 프로토타입만 있는 메소드를 가짐.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위클래스에서 확장/구현 해야 한다. 차이점 사용하는 키워드가 다르다. Abstract..
신입 개발자 기술면접 질문 정리 #3
💡 GET과 POST의 차이점은? : GET은 주로 웹 브라우저가 웹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되고, POST는 웹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GET 웹브라우저에서 웹서버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인코딩되어 URL에 붙는다. 주소 뒤에 "이름"과 "값"이 결합된 스트링형태로 전달. 주소창에 쿼리 스트링이 그대로 보여지기 때문에 보안을 요하는 전송에는 부적합하다. 길이에 제한이 있다.(전송 스트링이 너무 길면, 255글자 이상은 전송이 안된다.) post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르다. HTML FORM에서 method="get/post"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으로 GET방식으로 넘어간 다. POST 일정 크기 이상의 데이터를 보내야 할때 사용한다.(255글자 이상의 긴 정보를..
신입 개발자 기술면접 질문 정리 #2
💡 JVM이란? 자바 프로그램은 자바 컴파일러에 의해 바이트 코드로 번역된다. 이 번역된 바이트 코드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해석되고 실행된다. 여기서 자바 바이트 코드를 기계어로 사용하는 컴퓨터를 자바 가상기계라고 한다. 즉, 자바의 바이트 코드를 해석하여 실행하는 해석기가 설치된 컴퓨터는 모두 자바 가상 기계가 될 수 있음. 💡SI란 무엇인가? SI란 System Integration의 약자로 시스템 통합을 말한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 시스템에 관한 기획과 개발, 나아가 운영에 이르기까지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스템 통합은 기업 내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이나 전산 자원들을 통합‧연계하여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처럼 유기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객체에 대해 설명 해보시오. 객체(..
신입 개발자 기술면접 질문 정리 #1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은 오로지 컴퓨터 관점에서의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라면 객체지향은 인간이 구분할 수 있는 요소를 객체로 표현한 인간 중심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객체는 기억장소와 이 기억장소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연산의 집합이 정의되면 객체를 선언할 수 있다. 많은 객체 지향 언어에서 객체는 클래스로 그룹화 된다. 생성된 클래스로 객체의 특정 예를 생성하는데 이를 인스턴스라고 부른다. 객체 간의 정보 교환이 모두 메시지 교환을 통해 일어난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4가지 특징을 가진다. 추상화 : 클래스를 구현함에 있어 필요한 부분만 구현할 수 있다. 캡슐화 : 어떤 클래스를 이용함에 있어 내용(내부적인 데이터 흐름)은 알 필요 없이 사용해도 된다. 은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