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Java

    [자바] Random클래스

    #1️⃣ java.util.Random 클래스 import java.util.Random; 임포트문 작성하여 사용 (ctrl + shift + o) Random rnd = new Random(); System.out.println(rnd.nextInt()); //int 범위내에 난수를 반환 //nextInt(경우의 수) + 시작 값 System.out.println(rnd.nexInt(10) + 1); // (0 ~ 9) + 1(1부터시작) // 5 ~ 10 System.out.println(rnd.nextInt(6) + 5); // (0 ~ 5) + 5 -> 5 ~ 10 System.out.println(rnd.nextDouble()); System.out.println(rnd.boolean() ? "..

    [자바] String클래스

    #1️⃣ String은 참조형이지만, 기본형처럼 사용가능한 유일한 타입 String클래스는 char[]와 메서드(기능)를 결합한 것 string클래스 = char[] + 메서드(기능) String클래스는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 (read only) : 값 (literal) 을 직접 대입하는 형태로 사용가능 public void stringTest() { String s1 = "기차"; //문자열 리터럴 - 싸따옴표로 감싸서 표현 String s2 = new String ("기차"); //객체 레시피 사용 안해도 가능 //결과 System.out.println(s1); // 기차 System.out.println(s2); // 기차 s1 = s1 + "칙칙폭폭"; s2 = s2 + "칙칙푹푹"; //결과..

    [자바] 연산자

    📌 컴퓨터 연산원리 값(literal)은 같은 타입의 변수에만 대입할 수 있다. 같은 타입끼리만 연산할 수 있다. (ex. int 와 int의 연산) 같은 타입간 연산결과값의 타입 또한 동일하다. 📌 항과 연산자 항 (operand) : 연산에 사용되는 값 연산자 (operator) : 항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기호 📌 항의 개수에 따른 연산자 구분 #1️⃣ 연산자 우선순위 #2️⃣ 대입연산자 = , 좌항 공간에 우항의 값을 대입한다. 변수에 값을 대입 하는 연산자 연산의 결과를 변수에 대입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연산자 왼쪽 변수(lvalue)에 오른쪽 변수(값)(rvalue)를 대입 2 - 1. 변수 = 값 int a = 1; // 변수 a에 1이 대입된다. 2 - 2. 변수 = 표현식 int a = ..

    [자바] Scanner

    #1️⃣ Scanner 클래스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들을 Scanner의 메소드를 사용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Scanner를 사용할 시 util패키지를 경로의 Scanner 클래스를 호출해야 한다. (java.util패키지) 공백(띄어쓰기) 또는 개행(줄바꿈)을 기준으로 읽는다. (’ ‘ , ‘\t’ , ‘\r’ ,\n’... 등) import java. util.* (util패키지 호출) 클래스이름 객체이름 = new 클래스이름();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 System.in -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 스트림이다. #2️⃣ Scanner 주요 메소드 사용자입력은 무조건 문자열이다. Scanner는 적절한 타입으로 변환해서 값을 리턴한다. nex..

    [자바] 출력메소드

    #1️⃣ print 1 - 1. System.out.print(); - 내용출력 (개행처리 없음) System.out.print("안녕"); System.out.print("잘가"); // 결과 안녕잘가 1 - 2. System.out.print(); 개행처리 방법 System.out.print("안녕\n"); System.out.print("잘가\n"); //결과 안녕 잘가 |

    [자바] 형변환

    #1️⃣ 형변환 1 - 1. 컴퓨터의 동작원칙 반드시 같은 데이터타입 간에 연산을 한다. 반드시 동일한 데이터타입의 값을 동일한 데이터타입의 변수에 대입한다. 결과값 또한 동일한 데이터타입의 값을 가진다. 1 - 2. 형변환 자료형은 각각 사용하는 메모리 크기와 방식이 다름 서로 다른 자료형의 값이 대입되는 경우 형 변환이 일어남 1 - 3. 자동(묵시적) 형변환 : 작은 수에서 큰 수로 : 덜 정밀한 수에서 더 정밀한 수로 대입되는 경우 long num = 3; // int 값에서 long으로 자동형변환 // L, l 을 명시하지 않아도 됨 1 - 4. 명시적 형변환 : 자동 형변환의 반대의 경우 : 변환 되는 자료형을 명시해야함 자료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 double dNum = 3.14; int..

    [자바] 상수와 리터럴

    #1️⃣ 상수 변하지 않는 값 (cf 변수 : 변하는 값) 상수를 선언 : final 키워드 사용 , 변수명은 대문자로 사용 final double PI = 3.14; final int MAX_NUM = 100; final 로 선언된 상수는 다른 값을 대입할 수 없음 → PI = 3.15; 에러 남 프로그램 내에서 변경되지 말아야 하는 값을 상수로 선언 해 두고 혹시 변경되는 경우 선언된 값만 수정 #2️⃣ 리터럴(literal)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모든 숫자, 값, 논리 값 → ex) 10, 3.14, ‘A’, true 리터럴에 해당되는 값은 특정 메모리 공간인 상수 풀(constantpool)에 있음 상수 풀에 저장 할 때 정수는 int 로 실수는 double로 저장 따라서 long이나 float값..

    [자바] 변수

    #1️⃣ 변수 (Variable) 메모리 공간(RAM)에 한 개의 값을 기록하기 위한 장소(공간) 프로그래밍에서 값(Data)를 사용하기 위해 선언하는 것을 변수라 한다. ex) 사람의 나이는 해가 바뀌면 변한다, 게임을 하면 게임 레벨이 점점 올라간다.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 할당 받은 메모리의 주소 대신 부르는 이름 프로그램 실행 중에 값 변경 가능 사용되기 이전에 선언 되어야 한다. #2️⃣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int level; // level 이라는 이름의 변수 선언 int level = 20; // level 변수 선언과 동시에 20으로 초기화 int level; level = 10; int의 역할 : level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정의 int의 의미 : level..